👋 Hello, I am Seung-ho Ham

🧑🏻‍💻 A Developers who create code that changes the world

반응형

백업 5

[MongoDB] MongoDB ReplicaSet 기본 구성

MongoDB ReplicaSetReplica Set (몽고 이중화)가장 일반적인 이중화 방법, 데이터를 복제하여 장애 복구몽고디비를 사용하면 레플리카셋을 생성함으로써 레플리카를 설정할 수 있음레플리카셋은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하는 프라이머리 서버 한 대와, 프라이머리 데이터의 복사본을 갖는 세컨더리 서버 여러대로 이루어짐프라이머리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면 세컨더리 서버를 자신들 중에서 새로운 프라이머리 서버를 선출할 수 있음복제를 사용하는 상태에서 서버가 다운되면, 복제 셋에 있는 다른 서버를 통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음서버상의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접근할 수 없는 상태라면 복제 셋의 다른 멤버로부터 새로운 복제 데이터를 만들 수 있음Replica Set 설계 방법복제 셋을 설계하기에 앞서 과반수 개념을..

Database/MongoDB 2024.09.11

[Linux] Clonezilla 디스크 매핑 오류 이슈

Clonezilla로 디스크 복제 시 장치명이 바뀌는 문제복제 전 디스크의 /dev/sda는 SSD로, /dev/sdb는 HDD로 잡혀있었지만Clonezilla로 부팅 후에는 /dev/sda가 HDD로 /dev/sda가 SDD로 디스크 인식 순서가 바뀌어 있었음 따라서, Clonezilla로 부팅 후 디스크 복제 시, 잡혀있는 디스크들의 용량 및 모델을 반드시 체크 후 실수 하지 않아야 함(잘못하면 데이터 날아갈 수 있음) 디스크 용량 및 모델명을 lsblk로 확인lsblk -o NAME,SIZE,MODEL,MOUNTPOINT # SSD, HDD구분, 디스크 크기 구분, mount 되어있는지 구분

[Linux] Clonezilla를 사용한 리눅스 백업 및 복구

Clonezilla 부팅 디스크 USB와 백업 이미지 파일 저장 할 USB 필요2가지 USB 모두 꽂고 부팅 시 Clonezilla로 부팅 [중요] 복구 시 복구할 하드웨어는 백업한 하드웨어의 용량보다 크거나 같아야함 이미지 백업 방법> 언어 - 영어 선택 > keymap 설정 화면Don't touch keymap 선택.> Start_Clonezilla 선택> 모드 선택 - 이미지 백업 및 복구 - device-image 선택 > 백업 이미지를 저장하거나 불러올 장소 설정local_dev 선택 - HDD나 USB에 이미지 저장> local_dev 선택 시 저장할 USB 선택 알림Ctrl+C 를 눌러 다음으로 진행> 백업 파일을 저장하거나 불러올 파티션 선택> 백업 파일을 저장하거나 불러올 폴더 선택> B..

[MongoDB] MongoDB 백업 및 복원

MongoDB 작업 중, 신중하지 못했던 데이터 작업으로 컬렉션의 모든 데이터를 Delete 함 따로 백업을 해놓지 않은 데이터라 복구할 수 없었음 데이터 작업에 신중할 필요가 있지만, 무엇보다 안전하게 하기 위해 백업 전략이 필요 mongodump로 백업하기 mongodump는 MongoDB 데이터를 BSON(Binary JSON) 포맷으로 덤프하는 툴 전체 데이터베이스 백업 (dump)mongodump --uri="mongodb://localhost:27017" --out=/backup/mongo_$(date +%F) #저장경로 - 오늘날짜 특정 데이터베이스만 백업mongodump --db=mydb --out=/backup/mongo_$(date +%F) mongorestore로 복원하기 m..

Database/MongoDB 2024.09.06

[DEV] Data Backup

데이터 백업(data backup)이라고 하며, 데이터를 미리 임시로 복제하여, 문제가 일어나도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도록 준비해 두는 것을 말한다. 데이터 백업을 수행한 파일은 백업 파일이라고 한다. 웹 페이지 개발을 하면서 나의 나쁜 습관 때문에 페이지 전체를 통채로 수정해야할 뻔 하였다. 내가 가지고 있던 치명적인 나쁜 습관은 일부분에 대한 수정 요청이나 추가 요청이 왔을 때 간단한 것들은 '이건 이 부분 조금만 건드리면 되겠네' 라고 생각하며 원본 파일을 백업 해놓지 않고 원본을 그냥 고쳐버리는 습관이다. 간단한 수정 문제라고 생각하여 몇가지만 고쳤을 뿐인데 원래 같으면 정상적으로 작동 했어야 하는 소스코드가 작동하지 않았다. 백업을 해놓지 않았는데 이러한 상황이 생기니깐 순간 머리가 백지가 되었..

카테고리 없음 2021.04.30
반응형